사회문화기록화 리빙랩

리빙랩 운영절차

커리큘럼

  • 기간 : 2021.03.17~2021.05.26 / 총 8회, 매주 수요일 13:00-15:00
  • 장소 : 금하마을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커리큘럼
과정 일정 시간 강의주제 주요내용 강사진
이론과정 03.17(수) 13:00-15:00 마을기록가의 가치
  1. 교육과정 소개
  2. 다양한 마을의 기록 사례
  3. 교육 과정 참여 전 _ 참여자 인식조사
강의 : 유해연 교수
보조 : 강혜영 골목기록가
보조 : 김규현 연구원
03.24(수) 13:00-15:00 기록 수집하기 (I)
  1. 이론 : 역사/사회/문화적 자료의 기록화 방법
  2. 실습 : 미디어자료를 활용한 수집과 기록
    ※ 준비물 : 스마트폰, 녹음기, 사진기, 필기류 등
강의 : 양지원 연구원
보조 : 전선이 골목기록가
보조 : 윤주능/김규현 연구원
03.31(수) 13:00-15:00 기록 수집하기 (II)
  1. 이론 : 연령대 별 인터뷰 방법
  2. 실습 : 인터뷰를 통해 ‘기억 속의 골목’ 기록하기
    ※ 준비물 : 스마트폰, 녹음기, 사진기, 필기류 등
강의 : 김희정 교수
보조 : 김억부 골목기록가
보조 : 윤주능 연구원
실습과정 04.14(수) 13:00-15:00 기록 편집하기 (I)
  1. 실습 : 역사문화적 기록
    ※ 준비물 : 2인당 노트북 1대, 스마트폰, 필기류 등
강의 : 양지원 연구원
보조 : 윤주능 연구원
보조 : 김규현 연구원
04.21(수) 13:00-15:00 기록 편집하기 (II)
  1. 실습 : 사회문화적 기록
    ※ 준비물 : 2인당 노트북 1대, 스마트폰, 필기류 등
강의 : 양지원 연구원
보조 : 윤주능 연구원
보조 : 김규현 연구원
04.28(수) 13:00-15:00 기록 편집하기 (III)
  1. 이론 : 골목 실측 및 기록화 방법
  2. 실습 : 동네 기록
    ※ 준비물 : 2인당 노트북 1대, 스마트폰, 사진기, 필기류 등
강의 : 양지원 연구원
보조 : 윤주능 연구원
보조:  김규현 연구원
05.12(수) 13:00-15:00 기록 편집하기 (IV)
  1. 실습 : 구술 기록
    ※ 준비물 : 2인당 노트북 1대, 스마트폰, 녹음기, 필기류 등
    ※ 마을 구술사 참여자 3인 이상 섭외
강의 : 유해연 교수
보조 : 양지원 연구원
보조 : 윤주능 연구원
보조 : 김규현 연구원
수료식 05.26(수) 13:00-15:00 수료식(발표 및 평가)
  1. 활동 내용 발표하기
  2. 교육 과정 종료 후 _ 참여자 인식조사
  3. 수료식 및 수상
강의 : 유해연 교수
보조 : 양지원 연구원
보조 : 윤주능 연구원
보조 : 김규현 연구원

강의 주차별 주요내용

1강 마을기록가의 가치

일시 및 장소
  • 2021.3.17(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요 강의 내용
  1. 금하마을 마을기록단 교육 과정 및 일정과 배경
  2. 마을 기록 활동의 가치
  3. 기록된 결과물들의 활용 방안
강의내용에 대한 시사점
  1. 본격적인 활동에 앞서, 마을 기록이 갖는 가치, 필요성에 대한 참여자들의 이해를 도모하였습니다.
  2. 마을기록단의 교육 및 활동 일정 소개를 통해 장기적 활동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주민참여도에 대한 시사점
  1. 참여자들이 향후 교육,활동 과정에 대해 다수의 질문, 요청사항을 피력하였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참여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강 기록 수집하기(I)

일시 및 장소
  • 2021.3.24(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요 강의 내용
  1. 역사문화 자료의 개념과 기록화 방법
  2. 사회문화 자료의 개념과 기록화 방법
  3. 금하마을의 역사, 사회문화적 자료
  4.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사회문화 자료 검색 방법 실습
강의내용에 대한 시사점
  1. 지역마다 저마다의 역사, 사회문화적 자료가 존재함을 설명하고 비교적 간단한 분석방법을 통해 접근함으로써 참여자들이 ‘역사’, ’사회문화’라는 낯선 개념에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모하였습니다.
주민참여도에 대한 시사점
  1. 지역의 역사, 사회문화적 자료 분석이 낯선 분야였을 텐데도,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에서 실질적이고 일정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3강 기록 수집하기(II)

일시 및 장소
  • 2021.3.31(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요 강의 내용
  1. 마을기록에 대한 이해
  2. 마을기록 수집 방법 (면담 순서,대상,내용,방법,보조 자료 등)
  3. 마을기록 실습
강의내용에 대한 시사점
  1. 마을기록이 갖는 가치와 기초이론을 이해함으로써 참여자들이 향후 기록화과정을 진행할 때 필요한 큰 틀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주민참여도에 대한 시사점
  1. 마을 기록 활동에 대한 참여자들의 이해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일정 부분의 기초 이론 교육이 필수적이었습니다. 강의의 낯선 용어, 방법론 등이 다수의 참여자들에게 이해되지 못한 상황이 있었으나, 보다 쉬운 용어를 사용하여 개선할 필요를 느꼈습니다.

4강 기록 편집하기(I)

일시 및 장소
  • 2021.4.14(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요 강의 내용
  1. 역사문화자료의 개념과 분석방법 강의 (이론)
  2. 조별 역사문화자료 기록 실습, 발표 (실습)
    • 역사적 사건
    • 골목의 변화
    • 역사적 장소
강의내용에 대한 시사점
  1. 교육 내용을 토대로 참여자들이 직접 지역의 역사문화자료를 수집,분석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기록화 방법을 체득하였습니다.
  2. 조별 발표를 통해 지역에 대한 역사적 관점과 분석방법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사고의 폭을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주민참여도에 대한 시사점
  1. 각 참여자들이 본인이 경험상 알고 있는 주관적 역사와 신문기사, 위성사진 등 객관적 역사의 비교를 통해 역사적 사실을 도출하는 과정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5강 기록 편집하기(II)

일시 및 장소
  • 2021.4.21(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요 강의 내용
  1. 사회문화자료의 개념과 분석방법 강의 (이론)
  2. 조별 역사문화자료 기록 실습, 발표 (실습)
    • 통계적 변화
    • 사회, 문화적 사건
    • 소설 속 내용
강의내용에 대한 시사점
  1. 교육 내용을 토대로 참여자들이 직접 지역의 사회문화자료를 수집,분석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기록화 방법을 체득하였습니다.
  2. 조별 발표를 통해 지역에 대한 사회적 관점과 분석방법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사고의 폭을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주민참여도에 대한 시사점
  1. 제시한 통계자료 외에도 연관되는 통계들을 자체적으로 추가 분석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2. 문학작품 속에 묘사된 독산 1동에 대한 다양한 각자의 의견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6강 기록 편집하기(III)

일시 및 장소
  • 2021.4.28(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요 강의 내용
  1. 골목기록의 가치와 기록 방법 (이론)
  2. 조별 골목 기록 실습, 발표 (실습)
    • 골목 선정 이유, 분위기, 이야기
    • 골목, 건물, 부분 사진 촬영을 통한 골목 특징 도출
강의내용에 대한 시사점
  1. 이전 강의에서 배운 역사.사회문화적 특징이 골목이라는 물리적 환경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교육하였습니다.
  2. 사회문화 기록가로써, 일상의 공간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는 방법을 실습하였습니다.
주민참여도에 대한 시사점
  1. 각 조별로 지역의 역사,사회적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다 생각한 골목을 주제로 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보여주었습니다.
  2. 다들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지역 내 거주기간에 따른 참여도의 차이가 존재했습니다.

7강 기록 편집하기(IV)

일시 및 장소
  • 2021.5.12(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요 강의 내용
  1. 구술사의 정의
  2. 구술기록 방법
  3. 구술기록 결과물 예시
  4. 금하마을 마을기록지 계획안
  5. 구술사 실습
강의내용에 대한 시사점
  1. 구술기록의 정의와 세부적인 방법, 실습교육을 진행함으로써 구술기록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2. 구술기록의 내용이 ‘마을기록지’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공지하고자 하였습니다.
주민참여도에 대한 시사점
  1. 강사의 시범 후, 2명의 대표 참여자들이 섭외된 주민들을 대상으로 구술을 진행하였습니다.
  2. 각 대표 참여자들의 구술 과정에 대한 전 참여자들이 피드백 과정을 통해 구술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실수를 인지하도록 하였습니다.

8강 수료식

일시 및 장소
  • 2021.5.26(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행사 목적
  • ‘사회·문화 기록화 심화과정’ 수료자들에 대한 수료식 진행
행사 내용 및 방법
  1. 총괄코디네이터 축하말씀 (최찬환 교수)
  2. 1~7강 진행과정 및 결과 보고
  3. 교육과정 관련 주민 대상 설문조사
  4. 수료증 및 기념선물 전달
  5. 단체기념사진 촬영

실습 주차별 결과물(4~7주차)

4강 기록 편집하기(I)

일시 및 장소
  • 2021.4.14(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실습의 목적
  1. 지역 내 역사적 장소, 사건의 분석을 통한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 도출
실습의 내용 및 방법
  1. 방법론 강의 (30분)
  2. 각 조별(3인 1조+조교)로 지역의 역사적 장소, 사건에 대해 토의 후 장소 1곳, 사건 1개를 분석 후 정해진 양식(PPT)으로 정리 (1시간)
  3. 각 조별 대표자 1인이 발표 진행 후, 다른 조들의 의견 피드백 진행 (30분)
실습 결과
  1. 역사적 장소
    • 1조 : 철쭉어린이 놀이터
    • 2조 : 시흥대교
    • 3조 : 강남순환도로
  2. 역사적 사건
    • 1조 : 안양천 수해 (1977)
    • 2조 : 시흥대교 사고 (1970)
    • 3조 : 독산동 택지 개발 (1988)

5강 기록 편집하기(II)

일시 및 장소
  • 2021.4.21(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실습의 목적
  1. 지역 내 사회적 통계, 문학작품
  2. 분석을 통한 지역의 사회적 정체성 도출
실습의 내용 및 방법
  1. 방법론 강의 (30분)
  2. 각 조별(3인 1조+조교)로 지역의 사회적 통계, 문학작품에 대해 토의 후 통계 1가지, 문학작품 1권을 분석 후 정해진 양식(PPT)으로 정리 (60분)
  3. 각 조별 대표자 1인이 발표 진행 후, 다른 조들의 의견 피드백 진행 (30분)
실습 결과
  1. 사회 통계
    • 1조 : 인구 수 / 높은 남성 비율
    • 2조 : 주요 산업 / 높은 제조업 비율
    • 3조 : 주택 유형 / 낮은 아파트, 높은 다세대 주택 비율
  2. 문학 작품 분석
    • 1조 : 나의 독산동 / 1970년대 독산동 생활상
    • 2조 : 독산동 천사의 시 / ‘고독’이란 독산동의 상징성
    • 3조 : 독산동 세 여자들 / 1990년대 독산동의 생활상

6강 기록 편집하기(III)

일시 및 장소
  • 2021.4.28(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실습의 목적
  1. 골목에서 역사적, 사회문화적 특징을 발견하는 과정을 통한 일상과 역사,사회문화의 밀접성 이해
실습의 내용 및 방법
  1. 방법론 강의 (20분)
  2. 각 조별(3인 1조+조교)로 토의를 통해 실측 골목을 선정, 방문하여 특징을 발견하고 사진 촬영 (40분)
  3. 조사한 내용을 정해진 양식(PPT)으로 정리 (40분)
  4. 각 조별 대표자 1인이 발표 진행 후, 다른 조들의 의견 피드백 진행 (20분)
실습 결과
  1. 1조
    • 금하로 1가길 골목
    • 지역 내 오래된 상권 (사회문화적 특징)
    • 서울, 경기의 접경부분으로써 나타나는 건물 외관 차이, 복개 하천의 흔적 (역사문화적 특징)
  2. 2조
    • 금하로 1나길 10 골목
    • 어린이집, 유치원 개설 문제와 관련된 골목 (역사문화적 특징)
    • 미니스쿨존, 부설주차장 관련 울타리, 텃밭 (사회문화적 특징)

7강 기록 편집하기(IV)

일시 및 장소
  • 2021.5.12(수) 금하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실습의 목적
  1. 구술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및 어려움들을 발견하고 대처 방안을 교육
실습의 내용 및 방법
  1. 대표 참여자 2인이 섭외된 주민 2인(지역 내 30년 이상 거주)을 대상으로 양식에 따라 구술을 진행 (각 20분)
  2. 구술이 끝난 후, 전체 참여자들이 진행된 구술에서 잘된 점과 고쳐져야 할 점을 함께 논의 (20분)
실습 결과
  1. 1조 구술 실습
    • 주요 내용 : 마을 내에서 행해온 커뮤니티 활동
    • 공동 피드백 내용 : 들어주는 자세 필요
  2. 2조 구술 실습
    • 주요 내용 : 30년 넘게 살아온 구술자의 인생사를 통해 보는 마을의 역사
    • 공동 피드백 내용 : 질문자가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부분은 다시 질문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