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소개
역사생활문화기록화 리빙랩을 지속적으로 운영, 유지관리하기 위한 중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중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일환인 청소년 마을기록가 수업운영은 역사생활문화 기록화 리빙랩을 지속적으로 운영,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중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테스트베드로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수업은 한국연구재단(2020-2025)의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내 스마트 리빙랩을 활용한 역사/생활문화 기록화 및 정보공유시스템 구축 연구 지원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본 프로그램 운영은 서울특별시 동작관악교육지원청과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대한건축학회 AEL위원회의 업무협약(MOU)의 일환으로 가능하였으며, 2024년 2학기에는 상현중학교, 상도중학교, 사당중학교에서 각 1개반씩 8주간 16차시가 진행되었습니다.
수업의 강사 및 연구진은 숭실대학교 도시건축융합연구실과 sogroup(소그룹) 소속이며, 연구책임은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유해연 교수입니다. 수업시 촬영되는 사진, 영상 등은 연구목적으로만 활용되며, 수업 결과물은 연구, 논문발표 및 학회 홍보 목적으로만 일부 활용될 수 있습니다. 8주 수업이 종료된 후 최종 성과물은 3개 중학교가 함께 공유, 전시하고 발표할 예정입니다.
프로그램 운영계획
지역에 대한 도시구조와 건축,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마을을 기록합니다.
- 서울시 동작구 상현중학교, 상도중학교, 사당중학교
- 8차시(16시간), 1차시 2시간, 월요일 또는 화요일 운영
차시 | 주제 | 학습내용 | 성취기준 | 평가방법 |
---|---|---|---|---|
1차 8/19 |
마을기록의 이해 |
|
마을기록의 중요성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 활동결과물 |
2차 8/26 |
매체(뉴스, 유튜브, 신문)를 통한 마을의 이해 |
|
뉴스, 유튜브, 신문 등 매체를 통해 우리마을을 이해할 수 있다. | 활동결과물 |
3차 9/02 |
매체(영화)를 통한 마을의 이해 |
|
영화 매체를 통해 우리마을을 이해할 수 있다. | 활동결과물 |
4차 9/09 |
우리 마을 탐방하기 |
|
마을을 함께 탐방하고, 중요한 지역적 가치를 파악, 기록할 수 있다. | 활동결과물 |
5차 9/23 |
모형으로 기록하기 우리가 만든 마을 (1) |
|
모형을 통해 마을의 특성을 실물로 구체화 할 수 있다. | 활동결과물 |
6차 9/30 |
모형으로 기록하기 우리가 만든 마을 (2) |
|
매체 및 현장답사를 통해 도출한 특징을 모형에 반영할 수 있다. | 활동결과물 |
7차 10/07 |
패널로 표현하기 우리가 만든 마을 (3) |
|
주차별 결과물로 패널을 구성해 우리 마을을 표현할 수 있다. | 활동결과물 |
8차 10/14 |
챕터로 정리하기 |
|
협업활동으로 결과물을 정리하고, 발표할 수 있다. | 동료평가 |
운영 및 지원
- 연구책임자: 유해연(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참여연구원: 김경환(숭실대학교 건축학과 박사과정, 소그룹)
- 협력연구원: 이승재(소그룹)
- 학생연구원: 소유진, 양선유(숭실대학교 건축학부 학부생)
- 운영지원기관 :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한국연구재단, 숭실대학교, 건축창의러닝